'교사의 돈 공부 2 – 장기저축급여의 함정(1)' 에서 이어지는 글입니다.

 

셋째, 수익률이 낮다.

장기저축급여의 가장  문제점은 낮은 수익률입니다.

은행의 예금 금리를 보시면 물가상승률과 비슷하게 책정이 되어 있습니다.

 말은 은행에서 우리에게 지급하는 명목금리가 아닌,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제외한 실질금리를 봐야합니다.

 

미국 연준이나 한국은행에서 제시하는 물가 목표치는  2%정도 입니다.

 수치대로라면, 나의 현금 가치(구매력) 매년 2% 감소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위의 내용을 정리하면, 물가상승률과 은행 예금금리가 비슷하기 때문에, 

은행에  돈을 맡기지 않으면  현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막을  없다는것입니다.

 

이런 측면에서는 장기저축급여가 매력적으로 보일  있습니다.

평균 물가상승률 2% 제외하고 대략 1.5% 중반의 수익을 추가로 얻을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고려해 보아야  것이 두가지가 있습니다.

72 법칙과 기회비용입니다.

 

먼저 72 법칙은 복리의 이율로 어떤 금액의 가치가 2배로 증가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간단히 구할  있는 법칙입니다.

어떤 투자상품의 수익률이 10%이면, 72 법칙에 의해 72/10 = 7.2, 

대략 7 뒤에  투자금액이 2배로 늘어난다는 것을 암산으로 쉽게 계산할 있는 법칙입니다.

여기에 장기저축급여를 대입해보겠습니다.

 

매우 관대하게 잡아서 장기저축급여에서 교직원공제회에서 제시한 수익률 3.74% 그대로 인정하면,

19.2 뒤에  투자원금이 2배가 됩니다.

하지만,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 2% 고려한 실제 투자 수익률은 1.74%,

72 법칙을 통해 투자원금이 2배가 되는 시간을 구해보면 대략 74.3년이걸립니다.

, 투자로서의 가치가 낮다는 것을   있습니다.

 

그러면 장기저축급여의 두번째 단점인 기회비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앞에서 알아본 장기저축급여의 문제점인 초장기간 상품, 낮은 수익률은 기회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습니다.

, 다른 투자의 기회가 없어진다는 의미입니다.

미국 500개 대표 기업에 투자하는 ETF인 SPY에만 투자한다고 하면,

2000년 닷컴버블, 2008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와 같은 최악의 경제 위기를 겪었다가정해도 10.38%이며, 

물가상승률을 보정한 수익률은 7.81%입니다.

S&P 500의 1994년 부터 현재까지 수익률

 

수익률 7.81%  투자금액이 2배가 되는 시간을 계산해보면 9.2 밖에 걸리지 않습니다.

(인플레이션을 고려했기 때문에  실질 자산이 2배가 되는 기간입니다.)

 

, 이러한 이유로 인해 장기저축급여를 추천하지 않는 것입니다.

 

나는 주식 투자를 모르기 때문에 그냥 마음 편하게 장기저축급여에 가입하시겠다고 하시면 어쩔  없습니다.

하지만, 연금의 미래도 불확실한 상황에서 

  쉽고 좋은 개선 방향이 있는데도 노력하지 않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러한 계산의 결과 장기저축급여 납입금을  6만원으로 줄이고

연금저축펀드와 IRP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Gomdolius)

교사의  공부 2 – 장기저축급여의 함정

 

모든 것이 낯설고 어색한 초임 교사 시절, 주변의 여러 선생님들께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 돈과 관련된 조언은 2가지였습니다.

 

 

첫째, 사학연금 군 소급 기여금 납입

 

둘째, 장기저축급여 최대 납입

 

 

-----------------------------------------------------------------------------------------------------------

 

첫번째 조언인 사학연금  소급 기여금 납입은 무조건 이익이기 때문에 바로 납입 신청을 하였습니다.

 

(초임 때는 연봉이 낮기 때문에 저렴한 기여금 납부로 납부 연차를 늘릴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무조건 넣어야 합니다.)

 

 소급 기여금을 내는 바람에  그래도 적은 실수령액이  작아져 정말 힘들게 생활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2015 기준 실수령액 180만원에서 18만원 정도  차감되었기 때문에 먹고 살기가 힘들었습니다)

 

22개월이라는  소급 기여금 납입 기간이 끝나니, 월급에서 정말 여유로워졌습니다.

 

-----------------------------------------------------------------------------------------------------------

 

 

이번 글에서는 한국교직원공제회의 장기저축급여 가입에 대해 생각해보겠습니다.

 

초임이지만 고등학교의 특성상 초과근무가 많고(학생 상담을 위한), 여러가지 보충학습, 방과후 프로그램의 운영으로 인해 

 

2학기부터는 정해진 월급 이외에 부수적인 수입이 꾸준히 들어왔습니다.

 

2015년의 저는 금융적으로 정말 바보였기 때문에 이율이 높은 정기 적금만 자산 형성의 방법이라고 생각했었습니다.

 

(7차교육과정 시기의 이과출신이기때문에 사회, 경제를 배우지 못했고, 오로지 수능준비만을 했기 때문에  심각했을 것입니다.)

 

그러던 , 주변의 선배 교사가 조언해준 한국교직원공제회의 장기저축급여가 생각이 났고,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는 3.74% 연복리 조건과 저율과세조건만을 보고 가입하였습니다.

 

저의 장기저축급여 납입 사항을 보면 교직 1년차까지는 대략  40만원씩 납입하였고,

 

교직 2년차에 들어서면서 그때 당시의 최대 납입금액인 60만원씩  4년을 납입하였습니다.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해외 주식 투자를 시작하였고,  투자금을 늘리고 싶다는 생각으로 인해 

 

장기저축급여의 납입 금액을 30만원으로 줄였다는 것입니다.

 

장기저축급여 실제 납부 현황

 

 

2020 COVID-19 사태가 터지고, 개학이 연기되면서 본격적으로 집에서 금융 공부를 하였습니다.

 

 결과 2022 4 지금은 거의 최저 금액인  6만원 정도만 납입하고 있습니다.

 

물론 초임  막무가내로 장기저축급여 금액을 많이 넣은 것이 도움이  점도 있었습니다.

 

교직원공제회의 미소누리 최초 대여의 최대 가능금액까지 대여하여 은행 대출금액을 줄일  있었던 점입니다.

 

 

--------------------------------------------------------------------------------------------

 

여기까지가 장기저축급여에 대한  생각을 변화 과정이었습니다.

 

그렇다면  글을 보시는 교육공무원들에게 장기저축급여를 추천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째, 초장기 상품이다 (즉, 오랜 기간 동안에 돈이 묶인다)

 

 

둘째, 제시되어 있는 연복리 숫자는 과대광고이다.

 

 

셋째, 수익률이 낮다 (원금보장에 저율과세,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제외의 장점이 있지만)

 

 

하나씩 자세히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째, 초장기 상품이다.

 

장기저축급여의 슬로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노후 생활자금 마련을 목적으로 높은 급여율(이자율) 적용하여 설계된 국내 최장기 저축상품이며, 

 

장기저축급여를 가입하면 회원자격이 부여됨과동시에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받을  있습니다.’

 

 

초장기 저축상품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는 장기간 부담금(원금) 납부하면 원금보장되는 걱정 없는 상품이라는 의미이지만,

 

반대로 이야기하면 장기간 부담할  없으면 여러가지 페널티가 있으며, 

 

개된 연복리 급여율(이자율) 온전히 누릴  없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초장기 상품이기 때문에  돈이 20년에서 30년가량 묶인다는 것입니다.

 

이는 다른 투자를   있는 기회가 없어진다는 의미입니다.(기회비용, 낮은 환금성)

 

부동산과 같은 고액의 자산을 취득하고 싶은데, 은행대출의 여러가지 규제로 인해 원하는 만큼의 대출 한도가 나오지 않을 , 

 

내가 납입한장기저축급여로 일정부분 충당할  없다는 상황도 가능한 것입니다.

 

 

 

둘째, 제시되어 있는 연복리 숫자는 과대광고이다.

 

장기저축급여 상품 설명에 나오는 퇴직급여율은 20 이상 근무하였다는 전제조건 하의 수익률입니다.

 

교직원공제회의 상품설명에 따르면,

 

2019 8 31 이전에 납입한 부담금(원금) 납입기간에 따라 연차별 급여율(이자율) 적용받는다고되어있습니다. 

 

, 2019 이전에 많은 부담금을 냈던 저는 평균 2.4% 정도의 급여율(이자율) 평생 적용받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또한 2019 9 1 이후에 납입한 금액은 연복리 3.74% 적용받는다고 되어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변동금리라는 것입니다.

 

, 확정된 수익률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경제 상황에 따라  급여율(이자율) 얼마든지 변동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현대 사회는 저금리 기조와 구조적침체가 예상되므로, 급여율이  값보다 올라갈  같지는 않습니다.)

 

또한 중간에 임의 탈퇴를  시에는 탈퇴급여금이라고 해서 여러가지 페널티가 존재합니다.

 

중간에 탈퇴를 하시면, 과거 내가  돈의 현재 가치만 보전된 금액만 받을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장기저축급여는 낮은 환금성과 (확정되지 않은)낮은 수익률로 인해 가입해서는 안될 상품인 것입니다.

 

(자산이 정말 많아서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이면 정말 좋은 상품입니다.)

 

(교사의 돈 공부 3 에서 이어집니다)

Posted by (Gomdolius)

4월 둘째주도 힘든 한주였습니다.

 

월요일에 잠깐 오르다가 화요일부터 계속 미끄러졌습니다.

 

연준의 강력한 매파적 자세때문이었습니다.

 

항상 그래왔듯이 가지고 있는 현금으로 매일 2~5주 정도 추가매수하여

 

설정한 섹터비중을 맞춰주는 거래를 하였습니다.

 

매도는 일절 없습니다.

 

 

 

연금저축펀드 포트폴리오

 

 

 

 

 

 

 

 

연금저축펀드 수익률 현황

Posted by (Gomdolius)

미래 사회의 핵심인 학생과 젊은이들이 공무원과 같은 안정적인 직업을 최우선적으로 희망하는 상황은,

 

사회문제로 지적되는 것을 넘어서 뉴노멀로 가는듯해 보입니다.

 

인구소멸에 대한 문제, 경쟁에 대한 피로감, 워라밸의 확산 등으로 인해

 

그 어느 세대보다 공무원을 희망하는 사회 분위기가 일반화되고 있습니다.

 

 

 

 

그러한 공무원 중에서 저는, 제가 속해있는 교사라는 직업에 대해 제 생각을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저는 2015년 사립학교에 임용된 8년차 중등교사입니다.

 

대학 졸업과 동시에 안정적인 교직생활을 시작하게 되어서 제 또래의 다른 사람들과 비교해

 

비교적 풍족하고 여유롭게 살 수 있었습니다.

 

직업 안정성에 대한 불안감이 없으며,

 

대기업과 비교하면 안되겠지만, 그래도 근로자 상위 15%정도의 연봉(21년 기준 세전 6,200만원)을 벌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교사 또는 공무원의 최고 장점은 직업의 안정성과 노후 보장이라고 흔히 이야기 합니다.

 

법적으로 보장된 지위로 인한 정년 보장과, 법적으로 보장된 공무원연급 지급 보장 때문입니다.

 

교사로 한정 짓는다면, 저는 위에서 제시된 교사의 장점에 모두 동의할 수 없습니다.

 

첫째, 교사의 정년은 법적으로 보장되지만, 학교에서 교사의 직업적 수명은 점점 짧아져 갈것이며,

 

둘째, 교사들이 철석같이 믿고 있는 연금체계가 앞으로는 보장이 안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교사(공무원)라는 직업의 가장 큰 장점은 꾸준한 현금흐름이 보장된다는 것 밖에 없습니다.

 

출산율의 급격한 저하, 경제의 구조적 침체 등과 같은 이유로 인해 우리가 접하게 될 미래는 과거와 같지 않을 것이고,

 

과거의 통계를 기반으로 한 여러 가지 사회 보장 제도들이 무너지게 될 것입니다.(현재와 같은 추세에서 변하지 않는다면)

 

 

 

 

따라서 저의 경제적 미래는 제가 적극적으로 개선시켜 나가야 한다는 것이 ‘교사의 돈공부’를 연재하게 된 계기였습니다.

 

앞으로의 글은 제가 금융 문맹에서 탈출하기 위해 공부했던 것들을 정리하는 내용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교사 경력 20년 채우고 명예퇴직을 하기 위한 구체적인 플랜들도 제시 할 것입니다.

 

아무쪼록 이 보잘 것 없는 글이 금융문맹에서 탈출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Gomdolius)
PhET Simulations/Motion2019. 7. 26. 00:14

https://phet.colorado.edu/sims/html/friction/latest/friction_en.html

마찰 (Friction)

 

주제

 · 마찰

 · 열역학

 ·

 

설명

 · 화학책을 움직여 보고 무슨일이 일어나는지 관찰하세요.

 · 이 시뮬레이션에서 원자들의 상호작용은 간략화된 기술입니다.

 

학습 목표(예시)

 · 분자 수준에서 마찰 모형을 설명하세요.

 · 분자 운동 면에서의 물질을 설명하세요. - 온도가 이미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체, 액체, 기체 분자 운동의

   공통점과 차이점, 기체 분자의 크기와 속력이 일상의 물체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Posted by (Gomdolius)
PhET Simulations/Motion2019. 7. 26. 00:03

https://phet.colorado.edu/en/simulation/legacy/energy-skate-park

에너지 스케이트 공원 (Energy Skate Park)

 

주제

 · 에너지

 · 에너지 보존

 · 운동 에너지

 · 퍼텐셜 에너지

 · 마찰

 

설명

 · 에너지 보존을 스케이터와 함께 학습해보세요.

 · 스케이터를 위한 트랙, 오르막, 점프대를 만들고, 스케이터가 움직일 때 운동에너지, 퍼텐셜 에너지와 마찰에 대해

   관찰하세요.

 · 스케이터를 다른 행성, 우주공간으로 데려갈 수 있습니다.

 

학습 목표(예시)

 · 역학적 에너지 보존을 운동 에너지와 중력 퍼텐셜 에너지를 이용하여 설명해 보세요.

 

Posted by (Gomdolius)
PhET Simulations/Motion2019. 7. 25. 23:54

https://phet.colorado.edu/sims/html/energy-skate-park-basics/latest/energy-skate-park-basics_en.html

에너지 스케이트 공원 기초과정 (Energy Skate Park: Basics)

 

주제

 · 에너지 보존

 · 운동에너지

 · 퍼텐셜 에너지

 · 열에너지

 · 마찰

 

설명

 · 에너지 보존을 스케이터와 함께 학습해보세요.

 · 다른 트랙을 탐색해보고, 스케이터가 움직일 때 운동에너지, 퍼텐셜 에너지와 마찰에 대해 관찰하세요.

 · 스케이터를 위한 자신만의 트랙, 램프, 점프대를 만들어보세요.

 

학습 목표(예시)

 · 역학적 에너지 보존 개념을 운동에너지와 중력 퍼텐셜 에너지를 이용하여 설명하세요.

 · 에너지 막대와 파이 차트가 위치와 속력과 어떻게 연관되어있는지 설명하시오.

 · 스케이터의 질량이 에너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시오.

 · 트랙의 마찰력이 에너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시오.

 · 위치 또는 대략적인 속력을 에너지 막대와 파이 차트를 통해 예측해보세요.

 · 한 위치에서의 속력 또는 높이를 다른 위치에서의 정보를 바탕으로 계산해보세요.

 · 한 위치에서의 운동에너지와 퍼텐셜 에너지를 다른 위치에서의 정보를 바탕으로 계산해보세요.

 · 역학적 에너지 보존 개념을 활용한 스케이트 공원을 디자인해 보세요.

 

Posted by (Gomdolius)
PhET Simulations/Motion2019. 7. 25. 23:35

https://phet.colorado.edu/sims/html/balancing-act/latest/balancing-act_en.html

균형 (Balancing Act)

 

주제

 · 균형

 · 토크(돌림힘)

 · 지레

 · 회전 평형

 

설명

 · 물체를 시소에 올리면서 균형에 대해 학습한다.

 · 균형 잡기 게임을 통해서 여러분이 무엇을 배웠는지 테스트 해보세요.

 

학습 목표(예시)

 · 어떻게 하면 다양한 질량의 물체가 지렛대 위에서 평형을 이룰지 예측해보세요.

 · 지렛대 위의 물체의 위치를 바꾸면 지렛대의 운동이 어떻게 될지 예측해보세요

 · 지렛대가 기울어질 때의 규칙을 적어보고, 이를 활용하여 퍼즐을 풀어보세요.

 

Posted by (Gomdolius)
PhET Simulations/Motion2019. 7. 25. 23:08

https://phet.colorado.edu/en/simulation/legacy/fluid-pressure-and-flow

유체의 압력과 흐름 (Fluid Pressure and Flow)

 

주제

 · 압력

 · 유체

 · 유체역학

 · 베르누이 법칙

 · 밀도

 

설명

 · 대기와 물 안에서의 압력을 탐구하세요

 · 파이프 모양 변화가 유체 흐름 속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세요.

 · 급수탑에서 새는 물이 탑의 높이와 물의 높이(수위)에 따라서 물의 궤적이 어떻게 바뀌는지 관찰하세요.

 

학습 목표(예시)

 · 공기와 물 안에서의 압력이 어떻게 변하는지 조사하세요.

 · 압력을 어떻게 하면 바꿀 수 있는지 탐구하세요.

 · 다양한 상황에서의 압력을 예측해보세요.

 · 유체의 운동이 압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결정하세요

 · 수압이 물의 속도로 어떻게 변환되는지 이해하세요.

 

 

Posted by (Gomdolius)
PhET Simulations/Motion2019. 7. 25. 22:22

https://phet.colorado.edu/en/simulation/legacy/forces-and-motion

힘과 운동 (Forces and Motion)

 

주제

 ·

 · 위치

 · 속도

 · 가속도

 

설명

 · 캐비넷을 미는 상황과 같이 일을 할 때의 힘에 관해 탐구해보세요.

 · 케비넷에 힘을 가해주고 그로 인해 생기는 마찰력과 알짜힘을 관찰하세요.

 · 차트는 힘-시간, 위치-시간, 속도-시간, 가속도-시간에 대한 정보를 보여줍니다

 · 모든 힘에 대한 자유물체도(free-body diagram)를 관찰하세요.(중력과 수직항력 포함)

 

학습 목표(예시)

 · 외력이 물체의 속력과 방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정량적으로 예측해보세요.

 · 자유물체도(free-body diagram)의 유용성에 대해 설명하세요.

 · 자유물체도(free-body diagram)를 이용하여 위치, 속도, 가속도, 힘에 대한 그래프를 그려보세요.

    (그 반대의 과정도 해보세요)

 · 서로의 그래프가 어떻게 관련있는지 설명하세요.

 · 주어진 시나리오 또는 그래프를 이용하여 나머지 다른 그래프를 그리세요.

 

Posted by (Gomdolius)